GameDev 36

[유니티]Unity에서 Gradle(build.gradle) 파일 접근 및 수정

Unity는 기본적으로 Gradle 빌드를 관리하지만, 직접적으로 build.gradle 파일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Unity에서는 Android 빌드 설정을 통해 Gradle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수정하여 추가적인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Unity에서 build.gradle 파일에 접근하고 수정하는 방법입니다.1. Gradle 파일 접근 방법 a. Gradle 파일 생성Unity의 Build Settings 설정메뉴에서 File > Build Settings로 이동합니다.Platform을 Android로 선택하고, Switch Platform을 클릭합니다.Player Settings 설정Edit > Project Settings > Player로 이동합니다.Android > Pu..

GameDev/[Unity] 2024.12.10

[유니티]Target API Level과 Target SDK 완벽 정리

결론부터 말하자면 Target API Level과 Target SDK는 거의 같은 의미를 지니며, 둘 다 Android 앱 개발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하지만 이를 이해하려면 Android 앱의 SDK와 API에 대한 기본 개념과 관련 설정의 역할을 명확히 아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Target API Level과 Target SDK의 정의SDK (Software Development Kit)Android 앱을 개발하거나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와 라이브러리 모음입니다.특정 Android 버전(예: Android 14)을 지원하는 API(함수와 명령어 집합)를 포함합니다.API LevelAndroid의 버전을 숫자로 나타내는 체계입니다. 예를 들어:Android 14 →..

GameDev/[Unity] 2024.12.09

[애드몹]광고 테스트 전용 광고 단위 ID 한번에 정리

애드몹(AdMob)을 통해 게임에 광고를 삽입하면 수익 창출이 가능해집니다. 그러나 실제 광고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면 정책 위반 및 계정 정지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구글 애드몹에서는 테스트 전용 광고 ID를 제공합니다. 테스트 ID를 사용하면 실제 광고 노출 없이 광고 기능을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왜 테스트 ID를 사용해야 하나요?정책 위반 방지: 테스트 ID 없이 실제 광고를 잘못 클릭할 경우 구글 애드몹 정책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안정적인 테스트 환경 제공: 실제 광고 데이터를 불필요하게 방해하지 않으면서 광고 배치와 동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테스트 비용 없음: 실제 광고 노출로 인한 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애드몹 광고 테스트를 진행할 때는 반드..

GameDev/[AdMob] 2024.12.09

[유니티]에러 해결: Coroutine couldn't be started because the game object is inactive

Unity를 사용하면서 코루틴(Coroutine)을 실행하려고 할 때,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를 본 적이 있나요?"Coroutine couldn't be started because the game object 'Unit_Prefab' is inactive!" 이 에러는 흔히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로, 코루틴을 실행하려는 GameObject가 비활성화된 상태일 때 나타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와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에러 발생 원인Unity에서 코루틴은 MonoBehaviour 스크립트에서 실행되며, 코루틴이 호출되는 GameObject가 활성화된 상태여야 합니다.즉,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gameObject.SetActive(f..

[유니티]Mathf 함수: 개념과 주요 함수, 그리고 예제

Unity에서 제공하는 Mathf 클래스는 2D 및 3D 게임 개발에서 자주 사용되는 수학적 연산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수학 유틸리티 클래스입니다. Mathf 클래스는 삼각함수, 지수 함수, 반올림 및 기타 수학 연산에 대한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특히, 성능 최적화와 간편한 사용이 장점으로 게임 개발에서 필수적인 도구입니다.1. Mathf의 개념 Mathf 클래스는 UnityEngine 네임스페이스에 포함되어 있으며, 주로 다음과 같은 작업에서 사용됩니다:게임 오브젝트의 움직임 계산 (예: 회전, 위치 보간 등)효율적인 수학 연산 (예: 거리 계산, 랜덤 값 생성)수학적 값 처리 (예: 절대값, 반올림, 클램핑 등)Mathf는 대부분의 함수가 **정적(static)**으로 선언되어 있어 인스턴..

GameDev/[Unity] 2024.12.05

[유니티]싱글톤(Singleton) 패턴이란?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게임 개발에서 자주 사용하는 싱글톤(Singleton) 패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싱글톤은 특히 Unity에서 전역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객체를 생성할 때 매우 유용한 디자인 패턴인데요, 초보 개발자분들께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념과 예제를 소개해드릴게요. 💡싱글톤(Singleton) 패턴이란? 🧐싱글톤 패턴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하고, 어디서든 이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왜 싱글톤을 사용할까요?전역 접근 가능: 게임의 중요한 매니저(예: GameManager, AudioManager 등)를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메모리 관리 용이: 동일한 객체를 여러 번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원을 절약합니다.코드 간결화: 하..

GameDev/[Unity] 2024.12.04

[유니티]코루틴(Coroutine) 개념과 사용 방법

✨ 코루틴이란? 유니티에서 **코루틴(Coroutine)**은 시간 지연이나 비동기 작업을 쉽게 구현하기 위한 기능입니다.게임 개발에서는 대기나 점진적인 작업을 처리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캐릭터가 일정 시간마다 점프할 때 ⏳적이 몇 초 간격으로 스폰될 때 🐉서서히 화면이 밝아지는 효과를 줄 때 🌅이 모든 걸 코루틴으로 간단히 구현할 수 있어요!🛠️ 코루틴의 사용법코루틴은 IEnumerator를 반환하는 함수로 작성되며,StartCoroutine 메서드를 통해 호출됩니다.🧩 기본 형태:using System.Collections;using UnityEngine;public class CoroutineExample : MonoBehaviour{ void Start() { ..

GameDev/[Unity] 2024.12.03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으로 AI 100% 활용하기!🤖(활용법 & 사례 총정리)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AI 언어 모델(예: ChatGPT)과 같은 시스템이 원하는 결과를 생성하도록 적절한 질문이나 지시를 작성하는 과정입니다. 이 기술은 AI가 입력(프롬프트)에 따라 특정 방식으로 반응하도록 유도하며, AI 활용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주요 개념 🧠AI와 효과적으로 소통하려면 아래의 원칙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 명확하고 구체적인 표현모호한 질문보다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정보를 포함한 질문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옵니다.✅ 예:❌ "AI란 무엇인가?"✅ "AI의 역사와 오늘날 주요 응용 분야를 설명해 주세요."2. 콘텍스트 제공AI가 적절히 반응하려면 배경 정보나 목적을 명확히 전달하세요.✅ 예:"간단히 요약해 주세요.""5개..

GameDev/[etc] 2024.12.02

유니티(Unity)와 언리얼(Unreal) 엔진 비교: 차이점과 각각의 강점

게임 개발을 시작하려 할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질문 중 하나는 바로 “유니티와 언리얼 중 어떤 엔진을 선택해야 할까?” 입니다. 두 엔진 모두 강력하고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지만, 각기 다른 강점과 특징을 가지고 있어 프로젝트의 특성과 개인의 목표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엔진의 차이점, 이점,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각각을 학습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1. 유니티(Unity)의 특징과 강점1-1. 쉽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유니티는 사용자 친화적인 UI를 제공하여 초보자들도 쉽게 다가갈 수 있습니다. 특히 스크립팅 언어로 C#을 사용하며, 비교적 배우기 쉽고 간결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어 초보 개발자에게 적합합니다.1-2. 다양한 플랫폼 지원유니티는 PC, 모바..

GameDev/[etc] 2024.11.30

[유니티]Unity에서 GameObject의 활성화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activeSelf와 activeInHierarchy의 차이

Unity에서 GameObject의 활성화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두 가지 중요한 프로퍼티가 있습니다:activeSelfactiveInHierarchy 이 둘은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하며, 상황에 따라 반환 값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프로퍼티의 차이점과 활용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gameObject.activeSelf정의:activeSelf는 GameObject 자신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냅니다.이 프로퍼티는 GameObject의 자체적인 활성화 여부만 반환하며, 부모 오브젝트나 계층 구조(hierarchy)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특징:자체 상태를 확인한다.부모 GameObject의 상태에 영향받지 않음.활성화된 상태에서 부모에 의해 비활성화..

GameDev/[Unity] 2024.11.26